본문 바로가기

스포츠

독일 우승과 브라질 몰락이 한국축구에 말해주는 것



말도 많고 탈도 많았던 브라질월드컵이 새롭게 중무장한 전차군단 독일의 우승으로 대미를 장식했다. 축구황제 펠레의 전성기부터 월드컵에 빠져들었던 필자의 입장에서 월드컵 개최국이 브라질의 몰락이 독일의 우승보다 더욱 충격적이었다. 인간계를 넘어 신계에 올랐다는 메시가 마라도나의 폭발력에 미치지 못한다는 사실도 입증됐지만, 브라질의 몰락은 월드컵 역사상 가장 많이 회자될 것 같다.

 


                                                         17세의 나이에 월드컵에서 우승한 펠레


 

펠레와 자일징요, 토스타워, 리베리노, 알베르토 등이 주전으로 활약했던 브라질대표팀은 월드컵 우승을 밥 먹듯이 할 만큼 역대 최강의 전력을 보여줬다. 이들은 브라질리그 소속팀인 산토스에서 한솥밥을 먹던 사이였는데 브라질의 전성시대는 한 팀에서 손발을 맞춰온 이들에 의해 이루어졌다.

 

 

헌데 이번의 브라질대표팀은 주전선수 대부분이 유럽 빅리그 출신이어서 그런지 수비조직력과 공격전술의 다양성이 턱없이 부족했다. 조별리그에서는 이런 문제들이 부각되지 않았지만 16강 토너먼트에 들어서는 브라질의 파괴력이 현저하게 떨어졌다. 내이마르가 부상으로 결장했다고 해도 준결승과 3,4위전에서 보여준 경기력은 수준 이하였다.


                                                                        스포츠서울에서 인용

 

같은 나이의 펠레와 비교할 때 개인기와 체력, 경기지배력 등에서 뒤떨어진 내이마르가 뛰었다 한들 결과는 달라지지 않았을 것 같다. 이에 반해 독일은 바이에른뮌헨이라는 당대 최고의 팀에 소속된 선수들을 주축으로 대표팀을 구성했기에, 조직력과 체력 면에서 탁월함을 보여줬다. 진정한 의미의 원 팀이라 할 수 있다.

 

 

결승전에서 메시의 활약이 기대에 못 미친 것도 이런 독일의 수비벽을 뚫을 수 없었기 때문이다. 두 번의 결정적 찬스에서 골을 넣지 못한 것도 체력 저하에 따른 집중력 부족 때문이다. 작년도 챔피언스리그에서 FC 바르셀로나와 바이에른뮌헨의 맞붙었을 때도 메시는 이렇다 할 활약을 보여주지 못했다. 메시가 바이에른뮌헨의 조직적이고 강력한 협력수비에 막히자 FC 바르셀로나의 경기력도 살아나지 못했다. 


                                                                      스포츠한국에서 인용


 

독일이 우승할 수 있었던 또 하나의 이유는 자국 선수 위주의 리그 운영이다. 이는 유소년 육성 시스템에 강력한 동기를 부여했고, 일관성 있는 협회의 행정이 더해져 독일대표팀이 하나의 팀으로서 점점 강력해졌다. 여기에 지나칠 정도로 과소평가 받는 필립 램과 기술축구를 구사하는 메수르 외질이 가세하면서 독일대표팀은 펠레 등이 활약했던 브라질대표팀에 비견될 만큼 무적의 팀이 됐다.

 

 

프리미어리그에 외국인 선수들이 너무 많은 영국이 월드컵에서 이렇다 할 성적을 내지 못하는 것과 비교해 봐도 70~80년대의 시스템을 채택한 것 같은 독일의 리그 운영이 월드컵 우승으로 이어졌다. 독일의 우승이 뜻하는 것은 한국축구가 가야할 길을 제시해준다. 박지성과 이영표라는 걸출한 스타의 성공 덕분에 유럽 빅그리 행이 늘었지만, 동시에 거품을 형성했다.

 

 

이번 월드컵만 놓고 볼 때, 손홍민을 제외하면 빅리그에 진출한 나머지 선수들은 기대 이하의 경기력을 보여줬다. 빅리그 진출에 성공한 선수들이 지나칠 정도로 과대포장된 거품의 일종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몸 상태가 최악이었던 이청용을 포함해 유로파 출신들은 K-리그 선수들과 별반 다를 것이 없었다.

 

                                   

                                                                   스포츠코리아에서 인용



다시 말하면 빅리그 진출보다 K-리그 활성화를 통해 내실을 다지는 것이 장기적으로 봤을 때 한국 축구에 유리하다는 것이다. 뛰지 못하는 선수란 절대 발전할 수 없다. 벤치에 있는 시간에 비례해서 경기력은 떨어진다. 홍명보 감독과 축구협회가 참담한 실패를 노정할 수밖에 없었던 것은 필연의 결과였다.                                                                     

 

 

다시 K-리그다. 내적 충실함이 없을 때 외적 파괴력은 허상에 불과하다. 대표팀 전원이 빅그리에서 뛸 수 있는 것도 아니고, 영국과 브라질의 몰락에서 보듯 축구대표팀이 하나의 팀으로서 강력해지려면 K-리그의 활성화가 전제되어야 한다. 대표팀 마케팅으로 먹고 사는 축구협회가 한국 축구의 재도약을 이루려면 유소년에서 K-리그로 이어지는 시스템을 확고하게 구축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