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갤럭시 노트7 배터리 폭발과 박근혜의 줄푸세



삼성전자가 배터리 폭발을 일으킨 갤럭시 노트7의 전량회수를 결정한 것에 대해 이런저런 얘기들이 떠돌고 있다. 지금까지 문제를 일으킨 배터리가 35개인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판매된 것이 100만대라고 하니 갤럭시 노트7의 불량률은 0.000035%에 해당한다. 이런 불량률은 업계에서 통용되는 불량률 0.1%에 비하면 대단히 우수한 편이라 삼성전자를 빨아대는 언론들이 떠들어대는 품질에 하자가 있다고 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삼성전자가 250만대 전량을 회수하는 결정을 내린 것은 잘한 일이지만, 그것이 한국경제 같은 쓰레기 언론들이 입에 거품을 물고 칭찬하는 삼성전자의 품질완벽주의에서 나온 결정은 아니다. 삼성SDI가 납품한 리튬이온 배터리는 셀방식으로 전기차 등에 쓰이는 팩방식과 구별된다. 갤럭시 노트7에 일체형으로 남품된 셀방식의 리튬이온 배터리에는 양극부와 음극부를 나누는 막이 세 개(협력업체에서 납품하는데 고도의 코팅기술이 필요함) 들어 있는데 이중에서 어떤 것이 제대로 기능하지 못하면 폭발사고가 일어날 수 있다. 



문제는 여기에서 나왔다. 갤럭시 노트7에는 전기사용량이 많은 신기술들이 다량으로 탑재됐지만 일체형이기 때문에 배터리를 최대한 얇게 만들어야 했다. 삼성전자에서 밝힌 것처럼, 배터리 용량을 20% 정도 높여야 했다고 하니 문제가 발생할 여지가 높아졌다. 지금까지 드러난 불량률은 무시해도 좋을 만큼 매우 낮았지만, 작은 면적에 많은 용량을 집적했기 때문에 폭발할 경우 이용자에게 치명상을 입힐 수도 있다.  



바로 이것 때문에 삼성전자가 갤럭시 노트7 전량을 회수할 수밖에 없었다고 본다. 불량률이 낮다는 확률에 기대기에는 위험부담이 너무 클 수밖에 없다. 여기에 배터리를 납품한 삼성SDI와 협력업체들이 어떤 막에서 불량을 일으켰는지 밝혀내지 못한 것이 더해졌을 것이다. 원가 대비 지나칠 정도로 이익을 독식하면서도 조세도피처를 통해 최소한의 세금도 내지 않는 애플과 구글이 전 세계적으로 때려맞고 있는 상황에서 이용자의 생명을 앗아가는 폭발이라도 일어나면 삼성전자도 수십조의 벌금을 피해갈 수 있는 방법이 없을 터였다. 



삼성전자가 전량회수로 최대 2조5천억 정도의 손실을 입을 것이라고 했지만, 갤럭시 노트7의 원가를 고려할 때 실제 손실도 1조원 정도에 머물 것이다. 추후 폭발 원인을 규명하게 되면 회수한 배터리의 재활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손실은 더욱 줄어들 수 있다. 이런 모든 것을 따져보면 갤럭시 노트7의 전량회수 결정은 고객들을 상대로 삼성전자가 내린 지금까지의 결정 중에 거의 유일하게 칭찬받을 결정이다. 





대신 삼성SDI는 X됐다. 현재의 사장부터 품질관리를 맡은 임직원들이 모조리 옷을 벗어야 할 뿐만 아니라, 삼성전자의 결정처럼 갤럭시 노트7의 배터리 납품도 하지 못하게 됐다. 어떻게 보면 제일모직과의 합병을 통해 부품·소재 분야를 강화한 것이 삼성SDI로서는 치명적인 독으로 작용했다고 할 수 있다. 삼성전자가 시인했듯이 (애플과의 경쟁에서) 앞서가기 위해 출하시기를 앞당긴 것도 문제였고, 거의 언급되지 않지만 품질관리 인원이나 과정을 줄이는 것처럼 비정상적인 원가절감에 매몰된 것도 핵심요인으로 작용했을 것이다. 



향후에 나올 전자기기는 배터리에서 승패가 갈릴 가능성이 높다. 반도체의 집적도가 높아져 메모리 용량이 아무리 높아져도 배터리가 따라오지 못하면 말짱도루묵이다. 인공지능을 비롯해 기술혁명의 특이점을 떠들어대는 자들의 전망이 희망사항에 불과한 것들이 많은 것도 현장에 대한 이해가 터무니없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전기차 시장을 독식할 준비가 끝난 상태인 테슬라도 배터리에 문제가 있을지도 모른다.  



너무 빨리 너무 많이 먹으려 하면 이런 사단이 나기 마련이다. 무한경쟁의 승자독식(무한대의 탐욕)을 종교의 영역으로 끌어올린 신자유주의가 얼마나 위험한 짓인지 새삼 상기시켜 준 것이 이번 배터리 폭발사고의 본질이다. 세계시장을 선점해야 한다며, 원가절감을 위한 노동개악과 신기술·신제품에 대한 규제를 무차별적으로 풀고 있는 박근혜의 폭주가 얼마나 위험한 짓인지도 이번 배터리 폭발사고가 단적으로 말해준다. 



후진국에서도 일어나기 힘든 옥시참극도 본질적인 면에서 이번 사고와 별반 다르지 않다, 규제받지 않는 다국적기업의 신제품이 수백명의 목슴을 앗아갔고 수천 명의 피해자를 양산했으니. 대한민국도 이제는 박근혜의 줄푸세처럼 정부의 역할을 방기하는 짓에 사후책임을 물어야 하며, 문제를 일으킨 기업에게는 재기가 불가능할 정도의 징벌적 배상을 물릴 수 있도록 법과 제도를 정비해야 한다.  



                                                                                                    사진 출처 : 구글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