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

이명박의 방송장악 이후 방법이 사라졌다



이명박이 낙하산 사장을 통해 방송을 장악하고, 무더기로 종편을 허용하고, 연합뉴스TV까지 허용하면서 대한민국은 상식과 이성이 사라진 세상이 됐습니다. 국정원 댓글사건부터 세월호 참사와 성완종 리스트까지 어떤 일이 일어나도 방송을 거치면 본말이 전도됩니다.





인터넷과 SNS를 주로 사용하는 분들은 종편과 보도채널을 보지 않는다고 하지만, TV조선 메인뉴스 시청률이 MBC 메인뉴스보다 높은 시청률(6%대 돌파)을 기록한 현실을 고려하면, 국민의 40% 이상이 종편과 보도채널을 통해 세상을 보고 있습니다.



지상파3사의 공정성도 땅에 떨어진 상황에서 이들의 폭주는 국민들로 하여금 제대로 된 판단을 내리지 못하게 합니다. 특히 3개의 종편과 2개의 보도채널은 하루의 대부분을 뉴스보도로 채우고 있어 반복된 메시지가 시청자에 전달되면서 심각한 인식왜곡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현재 이들은 동교동계와 손잡고 문재인 죽이기에 올인한 상태인데, 그 방식이 노무현을 죽음으로 몰고 갈 때보다 더욱 노골적이고 선정적이고 폭력적입니다. 조중동은 활자화된 매체여서 방송보다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없었다면, 보는 것이 곧 믿는 것인 방송은 시청자의 인식에 그대로 각인됩니다.





이들의 행태는 현 집권세력에게 절대적으로 유리하기 때문에 집권세력은 이들에게 그에 합당한 대가를 제공합니다. 이런 식으로 양자 간의 협력은 상승효과를 발휘하고 시청자는 그들이 제시한 프레임에 갇혀 빠져나오지 못합니다. 왜곡된 정보와 사실을 근거로 판단이 이루어집니다.



최근의 시청률을 보면 종편과 보도채널을 습관적으로 틀어놓는 시청자가 폭발적으로 늘어났음을 보여줍니다. JTBC를 제외하면 지상파3사의 시청자들이 종편과 보도채널로 옮겨갔음이 이들의 시청률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지상파3사는 시청자를 잡기 위한 대응에 급급해 언론의 역할을 포기했습니다.



대한민국의 보수화는 소수의 지배엘리트 쪽으로 기울어져 있지만, 방송생태계를 이루는 운동장의 기울기는 가히 절벽 수준이어서 민주주의가 불가능한 지경에 이르렀습니다. 이것이 시청자의 인식을 지배하고, 선거로 이어지면서 야당은 연전연패의 늪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습니다.





인터넷과 SNS의 영향력은 그들만의 리그를 구축한 채 외부로부터 내부를 차단한 사이버 공간 안에서만 번성하고 있습니다. 아고라의 변화에서 보듯이 이제는 기존의 활동공간마저 극우주의자에게 내주고 있습니다. 아고라는 공적공간이 아닌 사적 충돌의 장으로 변질됐고, 소통과 토론은 사라졌습니다.



인류의 타락이 끝을 모르고 이어진 것은 하루 이틀의 얘기가 아니지만, 대한민국의 타락은 그중에서도 으뜸입니다. 한쪽에서는 욕망의 충족과 탐욕의 확장이 판을 치고, 다른 쪽에서는 패배와 열등의식에 사로잡혀 폭발 직전의 분노와 증오를 가슴에 담고 살아갑니다.



다양한 가치와 다양한 선택은 기본적인 삶의 질이 갖춰질 때 가능한 것인데 이것이 불가능해진 상황에서 서민들은 서로를 향해 칼을 휘두르고 있습니다. 이를 부추기는 것이 종편과 보도채널이고 지상파3사는 자신의 이익 챙기는데 급급합니다. 정부와 여당은 이 모든 것을 조장하고 있습니다.





우리에게 희망이 있을까요? 희망을 희망하는 것조차 힘겨울 지경입니다. 필자는 지칠 줄 모르는 에너지의 소유자인데, 최근에 들어서는 상당히 지친 상태입니다. 국민에게 주어진 자유는 옛날에도 있었던 사적 영역에서의 자유밖에 남은 것이 없고, 소규모 정당에 가해진 각종 제한 때문에 투표에서조차 자유가 없습니다.



각자의 분야에서 성공한 필자의 집안이야 세상이 어떻게 되던 먹고 사는 것 때문에 걱정할 일이 없고, 필자에게도 대한민국의 최상위층에 속하는 사람들이 같이 일하자고 하지만, 그것을 거부하면서까지 이런 고생을 하는 이유가 미친 짓처럼 느껴질까 봐 걱정입니다.



이명박의 방송장악 이후, 완벽히 구조화된 현재의 방송생태계에서는 무엇도 꿈꿀 수 없습니다. 최대로 해야 나만의 힐링입니다, 또 다른 자발적 복종을 위한.



                                                                                       사진 출처 : 구글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