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진보 세력의 몰락과 부활을 위해

죽은 미디어의 사회, 대한민국



대한민국은 미디어의 천국이다. 3개의 지상파와 수십 개에 이르는 부속 채널, 4개의 종편, 2개의 보도전문채널, 거의 백 개에 근접하는 케이블방송. 이들의 콘텐츠를 확대재생산하는 다양한 형태의 사이버 채널까지 대한민국은 하루 24시간이 턱없이 부족한 미디어들의 무한 메시지와 영상들로 넘쳐난다. 인간은 메시지와 영상의 홍수 속에서 영혼없는 유령처럼 메시지와 영상의 형태로 이곳 저곳을 배회한다. 





눈이 가는 모든 곳에 영상이 돌아가고 있고, 귀는 미디어가 만들어내는 소리의 홍수 속에 단 한 순간도 쉴 수 없다. 개인의 의지와 상관없이 오감과 신경은 미디어가 쏟아내는 콘텐츠에 언제나 열려있어야 한다. 이를 인식해서 분류하고 합당한 반응을 제시해야 할 뇌는 압도적인 콘텐츠의 양에 질식하기 직전이다.



1분 이상의 생각을 요하는 일은 금물이다. 끝없이 밀려드는 콘텐츠와 정보에 감각적인 반응을 보이는 것도 힘겨운 상황에서, 어느 하나를 붙들고 생각한다는 것은 자살행위에 다름없다. 보고 듣는 모든 것들을 끝없이 흘려보내지 않으면, 연속해서 밀려드는 메시지를 감당할 방법이란 없다.



‘모든 철학이 죽었다’는 비트켄슈타인의 한탄을 넘어, 자기반성적 성찰도 사라진 미디어 세상에서 보고 듣는 것이 곧 진실이고 진리인 이유가 여기에 있다. 대한민국처럼 다양한 미디어가 쏟아내는 메시지의 홍수 속에서 살아가려면 생각하지 않는 것이 필수적인 사항이다. 사람들을 생각하게 만드는 것은 최악의 범죄이다.





짧고 표피적인 단상들과 즉각적인 반응들이 넘쳐나는 것도 이 때문이다. 우리는 주어지고 접하는 콘텐츠와 정보가 많으면 생각의 양과 질이 높아진다고 판단하기 쉽지만, 뇌라는 것이 그렇게 진화해오지 않아서 정반대의 현상이 일어난다. 뇌는 가소성이 있어서 주어진 콘텐츠와 정보의 특성에 따라 변하기 마련이다. 



디지털 세대일수록 생각의 양과 질이 많아야 가능한 철학이나 사상, 사회적 문제 등에 대한 거부감이 커지는 이유도 우리의 뇌가 미디어의 특성에 길들여졌기 때문이다. 심지어 탐사보도나 기사마저 일정 수준 이상으로 길어지거나 복잡해지면 안 된다. 인문학 열풍이 불어도 독서량이 늘지 않고 강연을 듣는 것과 동영상을 보는 것만 늘어나는 것도 우리가 미디어에 얼마나 길들여져 있는지 반증해준다.



이런 현실에서 미디어가 내보내는 콘텐츠와 정보가 자체적으로 이루어지는 검열을 거치거나, 특정 세력에 유리한 편향성을 지니고, 속보와 특종 경쟁 때문에 오보가 빈발하고, 특정 사실(진실이 아니다)만 부각해서 내보내거나, 아예 사실을 왜곡해서 내보내는 것이 일상화됐다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 민주주의를 확대하리라 예상했던 사이버 공간이 검열까지 받는다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





미디어에 노출되는 시간이 많을수록, 미디어가 요구하는 방식으로 소통하는 것이 일상화될수록, 우리의 뇌는 미디어화 된다. 우리는 미디어가 보여주는 것에 관심이 집중되고, 미디어가 이끌어가는 대로 생각하게 된다. 생각의 양이 늘어나는 것 같지만 분업화된 노동처럼, 수없이 많은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분열된 자아처럼 통합되지 못하는 단편들로만 이곳저곳을 빛의 속도로 떠다닌다. 



생각의 깊이가 요구되는 것, 가치 판단의 기준이 명확해야 하는 것, 자기반성적 성찰이 필요한 것, 일관되게 생각을 밀고 가는 것, 그래서 생각의 끝까지 가보는 것은 불가능해진다. 심지어 무수히 많은 경험을 통해 상황을 판단하는 직관마저 미디어적인 방식으로 작동하게 된다. 자본과 권력에 의해 왜곡되고 편향된 보도와 정보가 사실 확인이라는 필터작용도 없이 수용되는 것도 이 때문이다.



일방적인 내용만 전달하는 광고가 대표적인 예다. 첨단과학이 총동원된 마케팅의 정수인 광고는 인간의 의식을 파고들어 광고가 의도하는 대로 반응하고 소비하게 만드는 것이 목표다. 광고로 돌아가는 미디어가 본질적으로 자본적이고 시장 편향적인 매체인 이유가 여기에 있다. 인류가 영원히 함께 해야 할 미디어는 가장 자본주의적이고 가장 권력지향적인 매체라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 된다.





특히 가족과 공동체와 사회가 제 역할을 못하는 현실에서 미디어(특히 대중매체)가 공적 영역을 독점하고 있는 것도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우리는 미디어가 전한 콘텐츠의 내용을 알지 못하면 일상의 대화에도 끼지 못한다. 미디어의 종류가 늘어날수록 공적 영역뿐만 아니라 사적 영역에서도 미디어의 콘텐츠와 거기서 파생된 것들이 대화의 주를 이룬다. 



헌데 대한민국의 미디어는 편향성이 도를 넘었다. 자본주의적이고 권력지향적인 편향성이 세계 최고 수준에 이르렀다. 미디어가 배출하는 콘텐츠와 정보가 공기처럼 만연된 현실에서 대한민국 미디어의 편향성은 생각의 깊이가 필요한 모든 것을 질식사시키며, 사고와 가치와 이념의 다양성마저 검열 대상으로 전락시킨다.



지상파와 보도전문채널이 장악되고, 종편이 무더기로 승인되고, 정부의 비호 아래 세를 확장해온, 그래서 권력과 언론이 불편하지 않고 한통속으로 움직이는 지난 7년이란 다음의 한 줄로 압축할 수 있다. 죽은 미디어의 사회, 대한민국. 


                                                                         

                                                                                                            사진 출처 : 구글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