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월호참사

해수부의 기습적인 천공작업에서 의심해야 할 마지막 것



세월호특위가 해체되자마자 해수부가 기습적으로 세월호 선체하부에 34개의 구멍을 추가로 뚫기로 한 것에 대해 증거를 인멸하기 위함이라는 필자의 글에서 미쳐 생각하지 못한 것이 있었다. 이번에 뚫는 34개의 구멍은 선체하부에 있을 증거들을 염기가 높은 바닷물로 부식시켜 증거로서의 가치를 파괴하기 위함이라는 것은 추론할 수 있었지만, 세월호의 고의침몰설과 연동하면 34개의 구멍을 뚫는 것에는 한 가지 의도가 더 숨어있는 것 같다. 





이전의 글에서 밝혔듯이 정상적인 운항이 불가능할 정도의 과적 상태였던 세월호는 동거차도 이전에 충돌을 일으켰다. 정부는 이것을 부인하지만, 생존한 승객들의 증언과 복원된 항적(해수부가 조작했었다)을 살펴보면 충돌이 일어난 것은 분명하다. 승객들이 느낀 충돌의 강도를 볼 때 선체하부에 구멍이 뚫렸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충돌이 일어난 다음에 동가차도까지 끌고올 수 있었던 것에서 보듯, 구멍은 크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다. 



지금까지 인양추진단은 세월호의 온전한 인양을 핑계로 크고 작은 구멍을 92개나 뚫었다(온전한 인양 자체가 정부의 음모였을 수도 있다. 그 덕분에 숱한 구멍을 뚫어야 했고, 시간을 무한정으로 끌 수 있었기 때문이다). 충돌로 생긴 구멍도 이때 인양을 위해 뚫은 구멍으로 조작됐을 수도 있다. 그것이 아니라면 선체하부에 집중된 34개의 천공작업 중에 문제의 구멍이 포함됐을 수도 있다. 





배가 정체불명의 무엇에 충돌돼 구멍이 뚫렸다면 선체하부일 가능성은 거의 100%다. 수면 위에 있는 무엇에 충돌됐다면 정체불명이란 말은 성립할 수 없기 때문이다. 거의 대부분의 충돌은 선체하부에서 일어나기 때문에 세월호도 그랬을 가능성이 거의 100%라고 봐야 한다. 특히 정체불명의 무엇에 충돌한 것이라면 거대한 암초나 잠수함처럼 수면 밑에 있는 것이어야 논리적으로 모순이 발생하지 않는다. 



세월호특위가 작동하고 있을 때는 뚫지 않고 있다가 특위활동이 사실상 종료되자 기습적으로 선체하부의 천공작업에 들어간 것을 설명하려면 '내부에 있는 증거물을 오염(부식)시키거나 유실시키기 위한 것'을 넘는, 그 이상의 다른 목적이 있다고 보는 것이 합리적이지 않을까. 세월호가 정체불명의 무엇과 충돌했고, 실소유주의 정체를 숨기기 위해 동거차도까지 끌고와 강제로 침몰시켰다면, 선체하부에 났을 구멍을 수단방법을 가리지 말고 변형시켜야 한다.





이런 추론에 이르고 나니, 세월호의 실소유주와 이해할 수 없는 항적과 고의침몰설에 얽혀있는 각종 의문들이 해결되는 느낌이다. 세월호의 실소유주가 국정원이고, 이것을 숨기기 위해 고의로 침몰시켜야 했다면 오늘의 추론이 최종적일 수밖에 없다. 정체불명의 무엇에 대한 추론은 추가로 이루어져야 하지만, 만에 하나 충돌 때 생긴 구멍이 세월호 인양을 위해 선체하부에 뚫는 34개의 구멍 중 하나로 둔갑한다면 고의침몰설을 입증할 방법은 사라진다.



기습적으로 이루어진 이번의 천공작업으로 세월호참사의 진상규명이 더욱 힘들어질 가능성이 높아졌다. 어쩌면 온전한 인양이란 절대명제가 박근혜 정부의 진짜 세월호프레임이었을지도 모른다. 온전한 인양을 핑계로 선체에 132개의 구멍을 뚫는 정당성을 확보하고, 그런 과정에서 증거들이 바닷물에 부식되도록 박근혜 정부가 2중의 세월호프레임을 작성했을 수도 있다. 진상규명에 대한 국민적 요구를 이용해 역발상의 프레임을 구축하는 것은 그리 어려운 일이 아니다. 



세월호 전체를 찍은 완벽한 영상이 있다면 혹시 모를까, 이번의 천공작업으로 진상규명의 가능성이 모조리 사라진 것은 아닌지 걱정이 앞선다. 부디 세월호의 실소유주와 고의침몰설을 입증할 수 있는 또다른 증거들이 남아있기를. 120개가 넘는 구멍을 통해 미수습자 9명의 시신이 유실되지 않고 남아있기를. 유병언 사체의 진위여부와 박근혜의 '7시간의 미스터리'를 풀 수 있는 증거들과 함께!    


                                                                                              

              

                                                                                                   사진 출처 : 구글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