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수히 많은 사람이, 아니 거의 대부분의 사람들이 아이들과 청소년들에게 자기가 좋아하는 일을 하라고 합니다. 세속적 의미의 성공이나 출세를 좇기보다는 평생을 거쳐 즐겁게 일할 수 있는 자신만의 일을 찾으라고 합니다. 청춘들이라고 해도 별반 다르지 않은 얘기를 듣습니다.
하지만 사회라는 것이 모든 개인에게 자신이 좋아하는 일만 할 수 있도록 허락하지 않습니다. 수천 년에 걸쳐 구축된 현재의 체제가 모든 개인에게 자신이 좋아하는 일만 하면서 살 수 있도록 나두지 않습니다. 자신이 원하던 원하지 않던 어쩔 수 없이 해야 하는 일로 넘쳐나는 것이 인간의 삶입니다.
어린 나이에 자신이 좋아하는 일을 찾아서 그것으로 먹고 살 수 있다면 그것보다 행복한 삶이 없겠지만, 개개인이 좋아하는 일이라고 해도 시대의 유행과 부모의 생각, 환경의 차이, 지역적 위치, 경험의 한계, 교육제도, 사회적 가치와 전통, 관습 등에서 자유롭지 못하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합니다.
이 때문에 자발적으로 구축되는 기호는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적습니다. 인간이 사회적이고 경제적인 동물이라는 것이 아무런 근거도 없이 나온 것이 아닙니다. 자아와 타인 및 사회에 대한 수없이 많은 철학적 성찰도 인간이란 존재의 불확실성과 가변성에 기초하기 때문입니다.
자아의 일치란 공자나 소크라테스 정도면 모를까, 어느 누구도 다양한 자아를 지니기 마련입니다. 똑같은 상황이 주어져도 선택이 다를 때가 많은 것도, 절대적으로 똑같은 시공간이 되풀이될 수 없는 것처럼, 불변하는 자아란 존재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좋아하는 일도, 하고 싶은 것도 절대적이지 않습니다. 내가 정말로 무엇을 좋아하는지 알려면 세상에 존재하는 것의 모든 일들을 경험하고 난 뒤에나 알 수 있는 것인데, 어린 나이에 자신이 좋아하는 일을 알 수 있다는 것 자체가 모순입니다.
운이 극도로 좋아 좋아하는 일을 찾았다 해도 그것을 평생의 직업으로 결정하는 것만큼 어려운 일도 없습니다. 좋아하는 일을 한다고 해서 좋은 결과가 나오는 것도 아니고, 항상 만족하거나 즐길 수 있어 행복한 것도 아닙니다. 일이란 늘 노력과 고통이 따른 것이지 맛있는 음식처럼 주어지는 것이 아닙니다.
또한 인간이란 존재가 그렇게 단순하지 않으며, 생존을 위한 진화가 그렇게 이루어지지 않았고, 사회도 그렇게 구축되지 않았습니다. 체제나 사회의 밖에서 로빈스 크루소처럼 살면 모를까, 체제나 사회 안에서 사는 한 좋아하는 일만 하고 사는 것이 불가능한 일입니다.
좋아하는 일을 찾는 것은 의지의 산물에 가깝지 기호의 산물에 가깝지 않습니다. ‘피할 수 없다면 즐겨라’는 말도 더 이상 선택의 여지가 없을 때나 의미가 있는 것이지, 끝까지 피하기 위해, 다시 말하면 주어진 난관을 극복하기 위해 끝까지 노력하는 것을 배제시키는데 있지 않습니다.
자신이 좋아하는 일만 하며 살겠다는 생각은 불의하고 부정한 세상과 타협하는 지름길이 될 수 있습니다. 인간의 삶이란 좋아하지 않는 일을 할 때가 더욱 많음을 인정하는 과정의 연속입니다. 일찌감치 독립해 내 마음대로 사는 것도 좋지만, 의무와 책임을 회피하지 않는 공동체의 일원으로 사는 것도 나쁘지 않습니다.
‘yes or no’처럼, 좋아하거나 좋아하지 않는 두 가지 선택만 가능한 삶이란 존재하지 않습니다. 0과 1로 이루어진 디지털 선택이 우리의 삶을 관통할 수 있다면 그것만큼 단조로운 삶이 어디에 있겠습니까? 평생 좋아하는 일만 좇는 것이 즐겁기만 하지도 않을뿐더러(칭찬도 세 번 들으면 실증난다는 옛말을 떠올려 보라), 행복을 보장하지도 않습니다.
좋아하는 일과 잘할 수 있는 일이란 찾는 것이기도 하지만 만들기도 하는 것입니다. 좋아하는 일을 잘하는 일로 만드는 것도 기호의 행위가 아닌 의지의 행위입니다. 인간을 존엄하고 행복하게 만드는 정치와 제도, 헌법과 법률이 보장하는 자유 또한 그와 다르지 않습니다.
사진 출처 : 구글이미지
'철학이 있는 공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특이점을 넘은 인공지능과 인류의 미래, 그 첫 번째 (32) | 2016.06.03 |
---|---|
고독을 잃어버린 시간의 나를 찾아서 (2) | 2016.02.02 |
아직도 우리는 유토피아를 꿈꾸고 있는가? (4) | 2014.12.02 |
민주주의의 위기는 자유의 과잉에서 온다 (3) | 2014.09.16 |
변희재의 광기와 벌레들의 역겨움에 대해 (2) | 2014.09.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