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치

국민을 사지로 내모는 것이 소명이라는 박근혜



사드 배치를 둘러싼 갈등이 멈추지 않고 있어서 속이 타들어 가는 심정입니다. 저도 가슴 시릴 만큼 아프게 부모님을 잃었습니다. 이제 저에게 남은 유일한 소명은 대통령으로서, 나아가 나라와 국민을 각종 위협으로부터 안전하게 지켜내는 것입니다. 저는 사드 배치 문제를 비롯한 여러 지역 현안들에 대해 민심을 청취하고, 문제를 적극적으로 해결해 나가기 위해 지역의 대표인 국회의원들과 단체장들을 직접 만날 것입니다.






위의 인용문은 박근혜가 휴가를 마치고 처음 주재한 국무회의 석상에서 행한 모두발언의 내용이다. 박근혜의 인식이 어디서 출발해, 어떤 방식으로 전개되는지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오늘의 발언은 '개·돼지가 뭐라고 짖어대던 내 갈길만 가겠다'는 왕족의 오만함이 묻어난다. 성골 중의 성골로 살아온 박근혜에게 대한민국이란 나라는 아버지가 일궈낸 국가이며, 자신은 그것을 물려받아 선진강국으로 만들어야 할 '소명'을 짊어졌다고 생각한다.    



박근혜가 사드 배치 갈등을 부모의 죽음과 연결시킨 것도  동일한 인에서 나온다. 세월호참사 때처럼, 정권의 안위가 흔들릴 때마다 부모의 죽음을 언급하며 합리적 토론과 이성적 접근이 아닌 감성적 호소로 국면을 돌파하는 방식도 왕족만이 가질 수 있는 대국민 호도의 전형이다. 자신의 부모를 이 나라의 주인이라 생각하지 않는 이상, 자식의 입장에서 이런 방식의 정치적인 이용은 할 수 없다.    


  

자신이 왕족이라는 인식이 뿌리 깊게 자리한 박근혜가 자신이 결정한 것에 반대하는 집단과 사람들은 사실관계를 제대로 알지 못해 발생한 갈등에 불과할 뿐이어서 자신이 설득에 나서면 해결될 문제라는 것이다. 대한민국을 선진강국으로 만들 소명의 담지자인 자신이 국가와 국민에 피해가 돌아가는 결정을 할 이유가 없으니 잘못된 정보와 선동에서 나온 오해는 얼마든지 풀 수 있다고 확신한다



왕족이란 성골의식은 그 다음의 발언에 극명하게 드러난다. '사드 배치를 비롯한 여러 현안들에 대해 (지금까지 불통과 아집의 결과만 배출해온 최악의 방식으로) 민심을 청취'한 뒤, 국민과 반대론자들이 아닌 '지역 대표인 국회의원들과 단체장들을 직접 만날 것'이라고 한다. 다시 말해 왕족인 자신이 천한 평민을 만날 수 없으니, 진골(선출직 지역대표) 정도는 되는 '국회의원들과 단체장들'을 만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뜻이다. 





더욱 가관인 것은 '나라와 국민을 각종 위협으로부터 안전하게 지키겠다'는 발언이다. 지난 3년7개월 동안 얼마나 많은 국민이 목숨을 잃고, 거리로 내몰렸는지 박근혜는 인식조차 하지 못한다. 졸속으로 사드의 성주 배치를 결정해 나라와 국민을 각종 위협으로 내몬 것도 박근혜는 인식하려 하지 않는다. 박근혜가 세월호유족들과 백남기씨 가족, 성주군민들을 외부세력과 종북좌파에 놀아난 무식하고 천박한 평민으로 생각하지 않는다면 이런 발언을 할 수 없다. 



'국민과의 대화'에 적극적이었으며, 서민의 언어로 소통과 토론의 정치에 최선을 다했던 노무현과 비교하면 박근혜의 인식이 얼마나 시대착오적이고 권위주의적인 알 수 있다. 박근혜가 민주주의에 대한 이해가 턱없이 부족한 것도 박정희 유신독재 시절에 머물러 있는 박근혜의 뒤틀린 인식에서 나온다. 국무회의나 수석비서관회의 등을 주재한 자리에서 국민의 정서와 정반대인 발언들이 난무했던 것도 이 때문이다. 



환관 중에는 박근혜에게 직언을 할 수 있는 자가 단 한 명도 없고, 설사 직언을 한다 해도 자신의 생각을 바꿀 리가 없는 박근혜의 성골의식(소명)이 대한민국을 탈출구가 없는 헬조선으로 만들고 있다. 부모의 죽음에서 배워야 할 것은 철저하게 거부하고, 죽음 그 자체에만 매몰돼 있는 박근혜가 청와대의 임시주인으로 있는 이상 국민이 매일같이 죽어나가는 헬조선에서의 탈출이란 불가능하다.       



박정희와 박근혜… 죽은 자가 산 자의 의식을 지배하고 있는 비극의 아수라장이 2016년의 대한민국이다. 



                                                                                                   사진 출처 : 구글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