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치

여기까지만이라는 유시민, 이정렬 트윗과 노통의 말로 반박하면


이정렬 변호사가 트윗을 통해 내가 혜경궁 김씨의 이야기를 꺼낸 후, 여러 경로로 그만하라는 이야기가 들어왔으며, 그 중에서 압권은 ‘BH(청와대)에서 원하지 않는다였다고 밝혔습니다. 이정렬 변호사에게 누가 압력을 가했는지 알 수 없지만 추미애와 김어준, 주진우 등으로 대표되는 이재명 카르텔은 현재의 청와대, 즉 문재인 대통령을 팔아먹는 것조차 주저하지 않았던 모양입니다.

 

 



문파라면 문재인 대통령이 지방선거에 개입하거나 나라의 주인인 시민의 자유로운 행위에 압력을 가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문파로써의 역사가 짧은 이정렬 변호사라 청와대에 알아봤지만(나라도 알아보기는 했을 것이다^^), 노통과 문프의 오랜 지지자들이라면 문프를 팔아먹은 그 자(국회의원이었으리라)를 고발했을 것입니다. 문프의 청와대가 불의한 이권이나 나눠먹는 조폭의 짓거리를 했다고는 상상조차 할 수 없으니까요.

 

 

문프의 삶과 이재명의 삶을 비교하면 단 하나의 공통점도 찾을 수 없고, 최측근 중 한 명인 전해철 의원도 밀어주지 않을 정도로 철저한 중립을 지킨 문프가 이정렬 변호사에게 압력을 넣다니요? 이재명과 이익의 카르텔을 맺은 자들만이, 유권자를 자신의 부와 권력을 위해 얼마든지 이용해먹을 수 있는 정치적 노예로 여기는 자들만이 그런 비열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하물며 이정렬 변호사가 노통과 문프의 골수지지자(필자를 포함해 1432명의 고발인)와 함께 찾으려는 진실이 세월호 희생자를 들먹이며 노통의 죽음을 조롱하고 부관참시도 마다하지 않은 짐승만도 못한 년/놈인데 어떻게 압력을 넣을 수 있단 말입니까? 하자와 결격사유로 넘쳐나는 이재명을 감싸고 돌면서 문프의 등에 칼을 꽂으려는 자들만 그런 압력을 넣을 수 있습니다.  

 

 

가끔가다 황당한 소리를 하는 유시민 작가도 경기도민이 여기까지만 허락한 것이라며 무효표에 주목하라고 했는데, 기권도 유권자가 할 수 있는 정치적 의사표시라는 점에서는 일리가 있지만 현실에서는 별다른 의미가 없는 말입니다. 무효표가 얼마나 많이 나왔건 간에 승자를 결정하는 것은 유효득표수의 차이입니다. 한 표라도 더 얻으면 승자독식의 주인공이 되는 것이며, 경기도지사에게 주어진 권한과 예산, 인력, 조직, 기관 등이 그의 수중에 들어간 것을 막을 수 없습니다.

 

 



이재명에게 표를 준 유권자는 경기도지사 이상을 바라기 때문에 그에게 승자가 될 수 있는 표를 줬지 경기도지사까지만 하라고 표를 주지 않았습니다. 유시민 작가의 말에 동의할 수 없는 것도 이 때문이며, 그런 기득권 논리는 이재명 카르텔에게 힘을 실어줄 뿐입니다. 인간의 탐욕이 끝이 없는 것처럼, 그런 탐욕에 기초하는 현실정치에서도 여기까지만이란 존재하지 않습니다. 유권자의 집단적 기억이 4년 동안 유지되리라는 보장은 어디에도 없고요. 

 

 

이재명을 지켜준 카르텔의 부와 권력을 생각하면 4년이란 시간 동안 수백 번의 세탁도 가능합니다. 상상도 할 수 없는 추문과 불법, 의혹들에도 불구하고 경기도지사에 당선된 것이 이재명과 그와 이권을 나눠먹는 카르텔의 힘입니다. 이재명의 본질이 책임질 것이 있으면 책임지겠다는 자신의 말을 되묻는 이지은 앵커의 질문에 그런 말 한 적이 없다는 거짓말에서 적나라하게 드러나는데, 그런 자가 경기지사에게 주어진 예산과 조직, 권한을 가지고 4년 동안 등신처럼 놀고먹기만 하겠습니까?

 


이재명의 당선을 무효화시켜야 합니다. 민주당 내에 핵폭탄을 들여놓은 채로 4년을 보낼 수 없습니다. 이재명을 경기지사를 넘어 민주당 대통령후보로 만들기 위해 샤이 이재명 지지자들까지 민주당으로 몰려들 것이 불을 보듯 뻔한데 여기까지만이라는 터무니없는 말에 위안을 받은 채 선거 결과를 받아들일 수 없습니다. 양자역학의 불확정성의 원리가 지배하는 4년 후의 미래를 지켜보라는 유시민 작가(많이 비겁해진)의 말에 노통의 말로 반박합니다.  

 

 

이의 있습니다!!


                                                                                                             사진 출처 : 구글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