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언론

KBS의 새 이름이 '개일베이스'라고요?



지상파 중에서 최악의 편향성을 지향하고 있는 막장 MBC도 일베에서 뛰어난 활약을 보여준 자를 정직원(특히 기자)으로 뽑지 않았습니다. 김재철의 후예들로 채워진 MBC 경영진들도 자신의 정체성인 정권 편향성을 잃지 않기 위해 무슨 짓도 서슴지 않지만, 일베 헤비유저까지 뽑아 정권 편향성을 MBC 전체의 정체성으로 만들지는 않았습니다.





이에 비해 국민의 시청료로 돌아가는 KBS 경영진(특히 현 정부 하에서 연임을 노리는 조대현 사장)은 일베 헤비유저를 정직원으로 뽑아 KBS의 정체성을 공영방송에서 ‘개일베이스(KBS와 일베의 합성어)’로 만들었습니다. 소속 11개 직능단체와 직원들의 임용 반대를 묵살한 채, 오로지 경영진의 영달을 위해 정권의 입맛에 맞추는 간교함을 보여주었습니다.



필자를 비롯해, 시청료를 내지만 KBS를 거의 보지 않는 시청자조차 일베 헤비유저의 정직원 임용을 반대했지만, KBS 경영진은 연봉으로 억 단위 이상의 시청료만 꿀꺽한 채 공영방송의 극우화에 첫 발을 내딛었습니다. 이를 주도하고 있는 조대현 사장이 연임에 성공하면 개일베이스를 향한 경영진의 부단한 노력이 히틀러 찬양 특집을 내보낼 날도 멀지 않을 것 같습니다.





경영진에 의한 폭력적인 권성민 PD의 해고(법정으로 넘어갔다)에 무력하게 대응했던 MBC 구성원처럼, KBS 구성원들도 개일베이스로 가는 경영진의 진군에 모세의 기적처럼 길을 터줄 모양입니다. 이명박근혜 정부 7년4개월 동안 이 땅의 언론인들은 낮은 포복에 익숙해져 무릎과 팔둑이 달아버릴 지경인가 봅니다.



MBC를 보면 박근혜 정부는 승승장구하는 중이고 대한민국은 태평성세를 누리고 있고, KBS를 보면 MBC의 보도가 그리 틀리지 않았다는 사후 추인을 내려주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아주 가끔 KBS 뉴스와 시사프로를 보면 정권에 불리한 것은 단신처리하기 일쑤라 현실인식이 도저히 잡히지 않는 모호함 속으로 빠져들곤 합니다.





대한민국 민주주의의 퇴행은 크게 두 가지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하나는 최악의 부처, 교육부가 주도하고 있는 초중등교육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미래를 지배하려면 과거를 왜곡해서 현재에 적용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다른 하나는 모든 국민을 상대로 사실을 왜곡하고 호도하는 언론(특히 방송)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그 핵심에는 공영방송 KBS에서 정권 편향방송 개일베이스로 자신의 정체성을 확립해가고 있는 KBS 경영진과 그들의 폭주를 막지 못하는 무기력한 직원들이 있습니다. 다른 방송들이 정권과 자본 편향성을 강화하는 것과 시청료로 돌아가는 KBS가 그렇게 하는 것은 하늘과 땅 차이입니다. 





무도하고 파렴치한 KBS 경영진에게 아무것도 바랄 것이 없다면, 최소한 언론인으로서의 자존심과 사명감이라도 가지고 있을 (가지고 있기를 바라는) KBS 구성원들의 투쟁을 요구합니다. '옐로우카드'에서 일베 이미지를 사용한 바이에른 뮌헨의 로고가 사용된 것에서 보듯 현재의 KBS는 자체 필터링 과정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정도로 망가져 있음을 명심해야 합니다.  



필자는 시청료를 내고 있기 때문에 KBS 구성원들에게 공영방송의 역할을 지켜내라고 요구할 수 있고, 많은 사람들이 그러할 것이라 믿고 있습니다. 민주정부 10년 동안 KBS는 공정성과 신뢰성 면에서 상당한 진전을 이루었지만, 보수정부로 들어서자마자 '땡전뉴스' 시절로 돌아갔습니다. 그 과정이 정권 차원에서 이루어진 것이라 해도 KBS 구성원들의 저항은 미미했을 뿐입니다. 





공영방송 kBS에 정말로 절박한 것은 시청료 인상이 아니라 시청료 인상의 근거가 되는 공정성 회복과 정치적 독립성이며, 무기력한 구성원들의 언론의 자유에 대한 확고한 신념이자, 파렴치한 경영진의 독단적 행태에 대한 실천적 저항입니다. 정권이 바뀐 다음의, 경영진이 바뀐 다음의 공정성 회복이란 사상누각에 불과하며, 누구도 할 수 있는 것입니다. 



                                                                                      사진 출처 : 구글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