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언론

썰전, 우병우 사태를 보는 유시민의 소수학설



우병우 민정수석과 조선일보의 전면전을 다룬 오늘의 썰전에서 전원책은 다수학설에 따라 얘기를 풀어갔고, 유시민은 소수학설에 따라 얘기를 풀어갔다. 전원책이 대변한 다수학설은 우병우가 민정수석의 역할인 인사검증이란 수단을 이용해 청와대부터 검찰, 경찰, 국정원 등에 이르기까지 무소불위의 '우병우 사단'을 구축하는 등 사실상의 대통령의 인사권을 행사하고 있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대한민국의 18대 대통령은 박근혜가 아니라 '정윤회 문건'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문고리 3인방마저 제낀(젖힌) 우병우라는 것이 다수학설의 핵심이다. '우병우 찍어내기'를 시작한 조선일보를 비롯해 거의 모든 언론들(KBS와 MBC 제외)이 다수학설의 카르텔을 형성한 채 '만악의 근원'인 우병우를 천길 나락으로 내몰고 있는데, 전원책은 이것에 근거해 우병우의 직권남용과 청와대의 과잉반응을 비판했다.



조선일보의 배후에 이명박이 있다는 권력암투의 확장판은 썰전에서 다룰 수 있는 내용이 아니라 시청자의 몫으로 넘어갔다. 이 부분은 각자의 상상력과 검색노력에 따라 다양한 '설'들이 난무할 것인데, 필자의 경우 구태여 거기까지 나갈 생각은 없다. 권력암투를 먹이감으로 무럭무럭 자라나는 음모론에도 머리를 굴려야 할 가치가 있는 것과 굿이나 보고 떡이나 먹다 뒤늦게라도 머리를 굴려도 되는 것이 있기 때문이다. 



유시민이 대변한 소수학설은 필자가 우병우 사태를 다룬 첫 번째 글(우병우 '7시간의 미스터리'라도 알고 있는 것일까?)과 일맥상통하는 것으로 우병우의 하자보다 박근혜의 하자에 초점을 맞춘다. 소수학설의 논리적 근거는 사정라인을 장악하고 있는 우병우를 내칠 경우 박근혜가 식물대통령으로 전락한다는 것에는 동의하지만, 자신보다 우월한 자는 용납하지 않는 박근혜가 우병우를 자르지 못하는 것에는 그에 합당한 이유가 있다고 보는 것이다.



박정희의 독재적 통치방식을 철저하게 답습하고 있는 박근혜가 우병우를 붙들고 있을수록 국정장악력은 기하급수적으로 줄어든다는 것을 모를 리가 없다. 2인자를 절대 인정하지 않았던 박정희처럼, 박근혜 역시 권력의 심부에 사단을 이룰 정도로 막강해진 우병우를 하루라도 더 붙들고 있을 이유란 없다. 박근혜의 입장에서 보면 조선일보의 '우병우 찍어내기'가 오히려 반가웠을 수도 있다. 



밤의 대통령 조선일보가 나섰으니 나머지 쓰레기들도 승냥이처럼 달려들어 우병우를 물어뜯을 터, 자신의 손에 피를 묻히지 않고 우병우를 털어내면 손해나는 장사는 아니라고 판단했을 가능성이 높다. 일이 꼬인 것인 자신의 생각보다 우병우의 권력이 막강하다는 것이었으리라. KBS와 MBC까지 동원해 이석수를 저격하고 조선일보까지 찍어누르는 것이 바로 자신의 아바타라 해도 틀린 것이 아니었을 수도 있다. 





박근혜가 자다가 벌떡벌떡 일어난다고 했던 것도 자신의 목을 칠 수 있는 비밀들을 속속들이 알고 있는 우병우의 버티기 때문이 아니었을까? 조선일보도 알고 있을 가능성이 높은 '그 무엇'을 양자가 동시에 터뜨릴 경우에는 퇴임 이후의 수렴청정은커녕 아버지의 최후를 자신이 답습하지 말라는 법도 없을 터이니, 자다가도 겁에 질려 벌떡벌떡 일어날 수밖에 없지 않을까?  



필자도 유시민처럼 소수학설에 무게를 두는 사람이다. 전원책의 다수학설에 적당히 힘을 실어주면서 박근혜와 조선일보가 양패구상에 이를 때까지 원님 덕에 나팔 불며 룰루랄라를 흥얼거리면 충분할 일이었다. 조선일보의 아킬레스건을 속속들이 알고 있을 우병우의 반격이 (유시민의 바람처럼) 정권 말기까지 계속되면서 박근혜의 발목까지 물고늘어지면 최상일 것이었다.  




그래서 전원책이 우병우 사단과 조선일보의 전면전에 분노를 터뜨리며 말했던 것이 우병우 사태의 본질이며, 살아서 맛볼 수 있는 최고의 '사이다'일 수밖에 없다. 국민에게 너무나 큰 고통을 안겨주는 것이어서 일어나지 않기를 간절히 바랐던 노무현 대통령의 예언ㅡ보수가 두 번만 연속해서 집권하면 그들이 얼마나 무력한지 국민들이 알 수 있다는 예언을 증명해주는 것이기도 하고. 



나 같은 정의로운 보수(?)가 피해를 본다니까! 



                                                                                                  사진 출처 : 구글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