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방송

K팝스타4, 이진아와 통념의 함정에 대해



칼 폴라니가 《거대한 전환》에서 말한 ‘사탄의 맷돌’은, 존재하는 모든 가치들을 맷돌에 집어넣어 경제적 이익이라는 단 하나의 가치(탐욕)만을 내보내는 자기조정시장의 본질을 압축한 말입니다. 세상에는 수많은 가치가 존재함에도 오로지 경제적 이익만이 유일한 가치가 된 것도 ‘사탄의 맷돌’이란 허구의 아이디어가 만들어낸 결과입니다.





어제 K팝스타4에서 최종 3인에 든 이진아를 보며 ‘사탄의 맷돌’이란 허구의 아이디어가 통념처럼 굳어진 과정(낙수효과도 마찬가지)이 떠올랐습니다. 언제부터였을까요, 아이돌그룹의 난립으로 가수는 노래를 잘해야 한다는 통념, 즉 청중을 압도하는 가창력이 가수의 첫 번째 덕목으로 굳어진 것이?



아마도 ‘나는 가수다’를 제일 먼저 떠올릴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미디어세대가 음악시장을 장악하면서, 미디어적으로 잘 훈련된 아이돌그룹 전성시대가 열렸습니다. 그들은 대중의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군무에 집중했고, 그러다보니 생방송 중에도 MR을 틀거나, 립싱크를 하는 경우가 다반사였습니다.





대중가요가 듣는 것에서 보는 것으로 바뀌면서 이런 경향이 강화를 거듭했고, TV에서 가창력을 지닌 가수들이 하나둘씩 자취를 감췄습니다. 이에 따라 가창력을 지닌 가수에 대한 갈증이 커져갔고, 이런 대중의 욕구를 풀어준 것이 ‘나는 가수다’였습니다.



뒤를 이어 ‘불후의 명곡’이 나왔고, 이런 추세는 방송사의 새로운 먹거리로 등장한 오디션 프로그램을 인기프로그램의 반열에 올려놓았습니다. 가수는 가창력이 우선돼야 한다는 것이 강해지면서 비디오적인 아이돌그룹의 안방 점령도 조금씩 줄어들었습니다.



대중가요의 다양성을 되살려낼 것 같았던 이런 추세는 경연프로와 오디션프로의 흥행돌풍을 통해 청중을 압도하는 가창력의 전성시대로 방향을 틀었습니다. 가수가 노래를 하는 사람이라면, 가창력이 기본적 덕목임에는 분명하지만 그것이 모든 것을 결정하는 것은 ‘사탄의 맷돌’과 동일한 효과를 고착화시킵니다.





특히 오디션프로에서 이런 효과는 정점을 이룹니다. 오디션프로에서 가창력을 중시하는 것은 당연하지만, 이것이 너무 강조되다 보면 가수의 다른 덕목들이 묻혀버립니다. 청중을 압도하는 가창력은 가수가 아닌 청중의 기호와 선택ㅡ대중가요는 이것 때문에 존재한다ㅡ을 극도로 축소시킵니다.



이런 면에서 볼 때, 이진아의 성공은 ‘악동뮤지션’과는 조금은 다른 성격의 혁명이라 할 만합니다. 그녀에 대한 유희열과 박진영의 극찬이 그들의 선택을 역으로 옥죄었을 수도 있지만, 이진아의 3강 진출은 노래(특히 대중가요)란 기본적으로 청중을 압도하는 것이 아니라 청중으로 하여금 듣게 만드는 것이 먼저임을 깨우쳐줍니다.





K팝스타4가 가수의 상품성만 중시한다면 ‘사탄의 맷돌’과 작동하는 방식이 다르지 않음을 말해주지만, K팝스타4가 청중의 다양한 선택을 중시한다면 한류의 다양성에 혁명에 가까운 결과를 만들어낼 수도 있습니다. 어쩌면 시즌2에서 악동뮤지션이 우승한 것과 시즌4에서 이진아가 최종 3인에 든 것이 K-pop의 진화를 말해주고 있는지도 모릅니다.



다양한 가치가 살아있는 사회, 다름이 틀림이나 열등이 아닌 창의성이 되는 사회, 그것이 사람 사는 세상입니다. 헌데 통념의 함정을 돌파하고 있는 이진아 양은 어느 별에서 왔나요?



                                                                                       사진 출처 : 구글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