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방송

이승윤 현상, 코로나 펜데믹과 승자독식 사회의 청춘을 말하다

 

아직도 어젯밤에서 새벽으로 이어졌던 떨림과 흥분과 감동이 온몸의 세포에 여진의 진동처럼 꿈틀거리고 있습니다. 인류 역사상 최악의 재앙이자 절체절명의 위기를 불러온 코로나19 펜데믹의 장기화로 모든 사람들이 지칠대로 지치고 감당하기 힘든 우울과 해소할 수 없는 분노로 힘들어 했지요. 많은 사람들이 허무하게 떠났고, 남아있는 모두가 힘겨웠으며, 팬데믹이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엔데믹이 될 가능성이 언급되는 등 지난 1년 여는 일상의 소중함. 삶과 죽음에 대한 성찰로 힘들었습니다. 

 

 

그렇게 모두가 지쳐가고, 많은 분들이 한계상황에 내몰렸습니다. 미국과 유럽의 우익 자유주의자들은 코로나19 방역을 위한 개인정보 제공을 프라이버시를 침해해 전체주의 국가로 가는 인권과 자유의 억압이라는 허황된 주장을 가능하게 만들었습니다. 그들은 거리로 몰려나와 인류 공통의 방역대책을 무력하게 만들었고, 과학적으로 0.00001%의 진실도 들어있지 않은 백신음모론으로 지구 차원의 집단면역 형성을 방해하고 있습니다. 

 

 

스위스 정신의학자인 엘리자베스 퀴블러 로스의 '인간이 죽음을 대면하는 인간심리 5단계 이론'에 따르면 '상황을 인정하지 않으려는 '부정'의 단계부터, '뭔라도 해야 한다'는 '협상'의 단계를 거쳐 '사태의 책임을 특정 집단이나 국가에 쏟아붙는 '분노'의 단계와 아무것도 하지 말자는 '우을'의 단계를 지나면, 마지막 단계인 '수용'에 이른다고 했습니다. '수용'의 단계는 지금까지 인류는 모든 도전을 극복했기에, 그랬듯이 이번의 위기도 이겨내리라는 가느다란 희망을 붙들고 하나씩, 그렇게 점진적으로 세상을 바꿔나가자는 사회, 국가, 지구 단위의 전략을 수립하는 것을 말합니다. 

 

 

헌데 전염력이 2배 이상으로 올라갔고 치료기간도 훨씬 길어졌으며 그에 따라 자연히 치사율도 높아진 변이 바이러스의 등장으로 펜데믹 종식이 아닌 코로나19와의 동행이라는 엔데믹을 걱정할 지경까지 이르렀습니다. 인류가 경험하지 못한 이 미증유의 위기에 지칠대로 지친 사람들에게 사막의 오아시스 같은, 만능의 백신 같은 뜻밖의 선물을 들고나온 '방구석 음악인'이 있었습니다. 

 

 

 

그는 아웃사이더 무명 특유의 언더 가수였고, 대중성과 독창성 사이의 경계에 갇혀 성공한 가수들에 대한 시기와 질투로 배아픈 무명의 천재 아티스트였습니다. 그의 재능은 하나의 장르에 가둬놓기에는 너무나 다양했고, 특정 장르로 묶기에는 너무나 뛰어나고 자유로웠습니다. 그는 그 자체로 하나의 장르였고, 그 이상의 생태계였으며, 세상에 알려지지 않은 재야의 고수였고, 그럼에도 완성된 천재의 전형이었습니다. 

 

 

마이클 샌델이 <공정하다는 착각>에서 맹폭한 시장경제 자본주의의 능력주의 예찬은 대대로 세습되는 특정 집안이나 이익집단을 위한 새빨간 거짓말이었습니다. 개인의 능력이라는 것은, 스스로 만들어갈 수 있는 재능과 노력의 산물이 아니라 온갖 경우의 불평등한 탄생 때문에 능력을 키우고 발휘할 기회조차 주어지지 않는 배제와 차별의 장벽이었습니다.

아인슈타인과 칸트가 불평등과 양극화가 공고해진 작금의 세상에서 태어났다면 이승윤의 무명시절과 별반 다를 것 없는 삶을 살고 있을 것입니다. 

 

 

결과의 평등은 고사하고, 기회의 평등마저 주어지지 않는데 무슨 수로 자신의 재능과 노력으로 배제와 차별의 높은 벽을 돌파할 수 있겠습니까? 세상 진입의 첫 걸음부터 갈 수 있는 길이 모두 다 막혀있는 청춘들에게는 더욱더 잔인한 배제와 차별의 거대한 벽입니다. 능력주의라는 거대담론에 최소한의 진실이라도 있다면 도전의 기회라도 주어져야 하는데, 성공으로 가는 모든 길에는 갖가지 바리케이트가 설치돼 있었습니다. 

 

 

우리의 미래인, 그래서 평균수명이 늘어난 장년과 노년의 부모와 조부모 세대를 부양해야 하는 이 시대의 청춘에게는 능력을 발휘할 기회는커녕 앞선 세대들이 남기 온갖 이름모를 빚들까지 떠앉아야 했을 뿐입니다. 희망이 절망스러운 상태에 빠진, 그래서 희망조차 가지지 않으려는 수많은 청춘에게 이승윤이라는 방구석 음악인은 뜻밖의 위로이자 선물이었으며, 세대간 갈등까지 뛰어넘을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해준 치유와 해방의 아이콘이자 희망의 상징이었습니다. 

 

 

 

청춘은, 그리고 저 같은 꼰대들까지 이승윤의 노래에 귀를 기울였고, 빠져들었으며, 따라불렀고, 전율했으며, 주체할 수 없이 사랑하게 됐습니다. 그가 웃으면 같이 웃었고, 그가 울먹이면 같이 울먹였습니다. 그의 노래는 배제와 차별의 해소였으며, 우리가 잃어버린 공정한 기회의 중요성을 되새기게 만들었습니다. 패자부활전 의미가 강한 싱어게인을 통해 그가 만들어가는 스토리텔링은 갈수록 커지는 무한경쟁과 승자독식의 불평등과 한낱 감기 바이러스에 무너져내리던 우리에게 다시 일어설 수 있는 용기와 희망을 선사해주었습니다.

 

 

그의 상위 라운드 진출과 탈락, 재진입을 거쳐 최종 우승으로 막을 내린 파이널 무대가 우리에게 제공된 무대이자 우승 같았습니다. 우리 모두가 이승윤처럼 성공할 수 없다고 하더라도 그의 도전과 성공 스토리는 우리 모두에게 '내가 했듯이 너도 할 수 있어, 포기하지 마. 우리 함께 가자, 명왕성으로! 그곳이 사막인들 우리가 함께 하면 그곳에서도 삶은 계속되고 아름다운 추억을 만들어갈 수 있어' 라고 말해주는 것 같았습니다. 

 

 

이승윤의 노래와 우승이 이 시대의 모든 문제점들을 바로잡을 수 없으며, 끊어지고 고립된 관계의 복원이자 일상으로의 돌아감을 뜻하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이승윤과 싱어게인에 참가한 모든 이들의 도전과 아름다운 경쟁, 멋진 연극 같은 피날레는 우리로 하여금 '이 고난과 위기에 맞서 이길 수 있다'는 용기와 치유의 메시지였습니다. 이렇게 해서 대중문화적인 것을 넘어 일종의 사회적 현상으로써의 이승윤 현상이 탄생하게 이르렀습니다.

 

 

현상으로써의 이승윤과 싱어게인 참가자 모두로 해서 우리는 치유받았고 즐거웠고 행복했으며 희망을 다시 가질 수 있었습니다. 좌절하는 순간, 모든 것이 끝이기에 현상으로써의 이승윤은 우리에게 손을 내민 것이고, 우리는 그의 손을 아무런 망설임도 없이 잡은 것이지요. 그렇게 이승윤과 우리의 동행이 시작됐습니다. 우리 모두를 리프레쉬 시켜준 이승윤은 말할 것도 없이 싱어게인 참가자들에게 고마운 마음을 전합니다.

 

 

이승윤이 자신의 인스타그램에서 말했듯이 싱어게인 스태프 모두에게도 감사한 마음을 전합니다. 수많은 청춘에게, 아니 모든 무명인과 패자에게 재도전의 기회를 준 기획력에도 칭찬을 아낄 수 없습니다. 긴 장마 뒤의 첫 햇살 같았던 지난 몇 개월은 이승윤과 함께 할 수 있어서, 싱어게인이 만들어내는 갖가지 이야기들로 해서 한여름밤의 꿈처럼 달콤했습니다. 첫 시즌이 끝났다는 아쉬움은 두 번째 시즌의 기다림으로 변할 것이며, 공연현장에서 이승윤을 비롯해 모든 참가자들을 만나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https://youtu.be/g7wMFk_RTfw